은트제의 자본주의 세상

[2024년에도 가입 가능합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소장펀드, 가입대상, 가입요건, 원금손실, 중도해지 본문

자본주의 세상

[2024년에도 가입 가능합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소장펀드, 가입대상, 가입요건, 원금손실, 중도해지

NTJ 2024. 3. 20. 19:24

 

1. 정책 배경

정부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다양한 금융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작년에 많은 관심을 받았던 <청년희망적금>이 올해 초부터 만기를 맞이해가고 있습니다. 이 적금에 가입한 청년들은 매월 50만 원씩 2년 동안 납입하면 원금 1200만 원에 정부 저축장려금과 이자 비과세까지 포함된 100만 원 이상의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청년희망적금에 이어 소위 '갈아탈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도 출시했지요. 이 계좌는 19~34세 청년이 월 40만 원부터 70만 원을 5년간 납입하면 연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기여금을 매칭해 줍니다. 월 70만 원 납입 시 5년간 원금 4200만 원에 정부기여금과 이자 비과세까지 합쳐진 5000만 원 내외의 자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30세 전후의 청년들은 향후 5년 이내에 결혼, 임신, 출산, 육아, 이직, 실업 등 목돈이 들어갈 수 있는 과도기적 시기인 만큼 신중한 투자결정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데,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라는 금융상품도 있습니다. 줄여서 <청년형 소장펀드>라고도 불리지요. 많은 금융회사들이 출시하고 있는데, 납입금액의 40%인 최대 240만 원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에 가입한 청년들은 상품 가입자 대부분인 과세표준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납입금액의 16.5%인 39만6000원의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정책 내용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가입대상은 만 19~34세 청년 중, 총급여액 50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 3800만 원 이하인 사람들입니다. 가입 후에는 소득기준을 유지해야 하며, 소득기준을 초과할 경우 해당연도 소득공제는 받을 수 없으나 이후 요건을 충족시키면 가능합니다.

 

최소 가입기간은 3년, 최대 가입기간은 5년이며, 가입 후 3년 이내에 해지할 경우 납입금액의 6.6%가 추징됩니다. 신청기간은 올해 12월 31일까지입니다. 원래는 2023년 12월 말에 일몰 예정이었으나, 가입률이 저조해 2024년 12월 말까지 가입 기간을 연장하였습니다.

 

가입 대상 및 자격 요건

  •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대상이며, 총급여액 50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800만 원 이하일 경우 가입할 수 있습니다.
  • 병역 이행 시 최대 6년까지 추가 인정됩니다.
  • 납입액의 40% 이상을 국내 주식에 필수로 투자해야합니다.
  • 참여 제한 대상 : ' 직전 3개 연도 동안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신청이 불가합니다.

 

가입 기간 및 납입 금액

  • 최소 가입 기간은 3년이며, 최대 가입 기간은 5년입니다.

 

소득공제 혜택

  • 납입금액의 40%에 해당하는 최대 240만 원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계약기간(3~5년) 동안 펀드 납입액의 40% 소득공제 

       * 연 납입한도 600만원 > 연 최대 240만원 소득공제
         (만기수령액) 납입액(최대 1,800~3,000만원) + 펀드 운용 손익

  •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으며, 상세한 세금 환급액은 납입 금액과 연관이 있습니다.

 

3. 주의할 점

소득증명 발급 및 제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소득증명이 필요합니다. 이는 국세청의 앱 '손택스'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은 즉시 가능하며, 발급 후에는 발급번호를 등록하여 가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펀드 상품 중 직접 골라서 투자하는 방식

또한 '청년형 소득공제' 항목에는 다양한 펀드 상품이 있습니다. 즉, 하나의 상품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신의 투자 성향과 펀드의 투자 분야, 포함된 기업들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원금 손실 가능성

반드시 알아두어야 하는 것은 바로 '원금 손실의 가능성'입니다. 펀드 상품은 수익률이 좋으면 원금 이상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도 감안해야합니다.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기에 손실에 대한 가능성, 예상 손실률을 잘 계산해야 하며 그럼에도 펀드의 투자 분야와 성장성에 나름의 믿음이 있고 큰 폭의 소득공제 혜택을 가져가고 싶다면 청년형 장기펀드에 과감히 가입하기 바랍니다.

 

"나는 결코 원금 손실은 용납할 수 없다!" 라는 생각이라면, 펀드 상품보다는 원금보장이 되는 예금, 적금 상품을 이용하시면 좋겠습니다.

 

 

4. 펀드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하기!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전, 반드시 아래의 항목을 확인하세요!!

 

  • 자신의 연령 및 소득금액이 가입대상인지 확인
  • 최소 3년, 최대 5년간 일정 금액을 꾸준히 납입할 수 있는지 체크
  • 펀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었는지 확인(수익이 날 수도 있지만, 원금 손실 가능성도 있다는 점)
  • 최소 3년간 중도해지를 하지 않을 수 있는지 확인(중도해지 시 추징세 6.6% 부과)
  • 연말정산 시, 소득세 대비 얼마의 금액을 환급받고 있는지 확인(소득세 대비 환급금액이 적다면 청년형 장기펀드 가입이 유리)
  • 청년도약계좌 납입액 배분 고민(청년도약계좌와 청년형 장기펀드는 가입기간이 길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함)

 

 

청년들에게는 자신의 재무상황과 투자 가능성을 고려하여 청년형 장기펀드의 가입 여부를 결정할 것을 권장합니다.

포인트는 역시 "소득공제"이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 혜택을 누리는 것이 가장 큰 목표라면 청년형 소장펀드 가입을 고려해보세요!

 

 

 

 

 

※ 관련 사이트 1 : https://whatsnew.moef.go.kr/mec/ots/dif/view.do?comBaseCd=DIFGODEPRT&difGovDepart1=DIFGODR001&difSer=d951779c-b5be-48b3-b66c-3d91873a2017&temp=2022&temp2=HALF001

※ 관련 사이트 2 : https://2030.go.kr/board/1/boardView?nttId=1536

 

※ 자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www.korea.kr)